청년 장학금 제도, 소득분위별 혜택 차이
대학 등록금 부담을 덜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양한 청년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특히 소득분위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지며, 성적 요건을 만족하면 반액~전액 등록금 면제도 가능합니다. 지금 확인해서 본인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.
📌 목차
청년 장학금 제도 종류
- 국가장학금 I·II 유형: 소득분위별 차등 지원, 재학생 성적요건 충족 필요
- 고교취업연계 장학금: 특성화고 출신 재직자 대상
- 다자녀 국가장학금: 다자녀 가구 대학생 대상 특별 지원
- 국가우수장학금: 이공계, 교직계열 등 우수학생 대상
소득분위별 지원 금액 (2025년 기준)
소득분위 | 국가장학금 I유형 연간 지원금 |
---|---|
0~1분위 | 등록금 전액 (최대 520만원) |
2~3분위 | 약 390만 원 |
4~5분위 | 약 286만 원 |
6~8분위 | 약 168만 원 |
9~10분위 | 미지원 |
신청 시기와 방법
- 매년 1학기(12월~1월), 2학기(6월~7월) 중 신청
- 한국장학재단(www.kosaf.go.kr) 접속 후 온라인 신청
- 소득분위 산정 동의 및 가족 정보 입력 필수
제출서류 및 유의사항
- 가족관계증명서
-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(부모 포함)
- 재학증명서 또는 수강신청서
- 성적증명서 (직전학기 C학점 이상)
※ 서류 누락 시 신청이 자동 취소될 수 있으니 꼼꼼히 확인하세요.
지역별 추가 장학금 제도
- 서울형 장학금: 서울시 거주 저소득 대학생 대상
- 경기도 청년 장학금: 소득 8분위 이하 대상, 생활비 성격의 현금 지원
- 부산 장학회 장학금: 성적 우수자 대상 선발